파이썬 조건문 if
가장 기본적이면서도 많이 쓰는 조건문 if문을 사용해보자.
파이썬 조건문, if문의 기본 문법은 다음과 같다.
if 조건문:
code
...
조건문의 조건?은 True or False, 참 또는 거짓으로 결과가 나와야 한다.
a가 b보다 큰가? 이는 참(1) 또는 거짓(0)으로 나타낼 수 있다. (물론 a, b는 서로 비교가 가능한 자료형이어야 한다)
if 조건=='참' 이면, if문을 수행할 것이고 '거짓'이면 if문을 skip하게 된다.
아래는 조건문이 {참} 이면 해당 조건문에 들어가서 코드를 수행하는 예제이다.
둘 이상의 조건을 이용하고 싶을 때는 elif, else를 결합하면 된다.
if 조건문:
...
elif 조건문:
...
else:
...
if는 if 조건문의 시작을 위해 사용하고
elif는 if문 이후에 조건을 이용할 때,
else는 if, elif 이외의 나머지 것들 모두를 이용할 때 사용한다.
a = 3
if a == 3:
print("a는 3이다")
else:
print("a는 3이 아니다")
[결과화면]
a는 3이다
a = 5
if a == 3:
print("a는 3이다")
elif a == 7:
print("a는 7이다")
else:
print("a는 3과 7이 아니다")
[결과화면]
a는 3과 7이 아니다
python 조건문을 사용하기 위해 if, elif, else문을 사용하는 건 알겠는데,
실제 if, elif 다음에 들어갈 조건을 어떻게 만드는지 알아야 한다.
조건은 비교연산자와 논리연산자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.
< | > | == | != | >= | <= |
and | or | not | in | not in |
비교 연산자는 a < b: a가 b보다 클때, a!= b: a와 b가 다를때 등 직관적으로 쉽게 알 수 있는 것들이다.
논리 연산자도 말 그대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.
[and] 조건식A and 조건식B: 조건식 A와 B를 둘 다 만족할 때
[or] 조건식A or 조건식B: 조건식 A와 B를 중 하나라도 만족할 때
not / in / not in 은 여러 자료형과 다양하게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.
a = []
if not a:
print("a에 원소가 없다")
[결화화면]
a에 원소가 없다
var1 = ["서울", "부산", "대구", "인천", "광주", "경기"]
if "전주" in var1:
print("전주는 var1에 포함되어 있다.")
else:
print("전주는 var1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")
[결과화면]
전주는 var1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
if "전주" not in var1:
print("전주는 var1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")
[결화화면]
전주는 var1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
'개발 > 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클래스 - python class (0) | 2021.06.12 |
---|---|
파이썬 함수 - python def (0) | 2021.06.05 |
파이썬 반복문 - python while문 (0) | 2021.05.16 |
파이썬 반복문 - python for문 (0) | 2021.05.05 |
파이썬 크롤러 만들기 #1 (0) | 2021.04.10 |